본문 바로가기
건강 이야기

알고 먹는 LGG 유산균 - 상하목장 유기농 요거트

by 트라좀 2022. 4. 9.
반응형

 ● LGG 유산균이란?

 

 우리 몸은 30조 개의 세포로 구성되어 있는데, 놀랍게도 몸속에 사는 미생물은 38조 개로 몸의 세포수보다 많다. 몸속의 미생물을 모두 합한 무게는 1~1.5kg 이상인데 그 중 많은 수가 장내에서 서식한다. 

 

 유산균은 장내 유익한 미생물 중 한 종류이다. 유산균(   ,   ,  버섯 균,  Lactic acid bacteria )이란 발효의 과정을 통해 생장하는 세균 중에서 발효 결과 산물 중 유산(Lactic acid)을 주로 생산하는 균을 뜻한다. '산(Acid)'이라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유산균으로 발효한 음식에서는 신맛이 난다. 대표적인 음식으로 김치, 요구르트 등이 있다.

 

 ○생물이 에너지를 얻는 대사 방법에는 호흡과 발효가 있다. 지금 이 글을 읽고 있는 사람들은 숨을 쉬면서 공기 중 산소를 흡입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호흡으로 에너지를 얻고 있다.

 

LGG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를 뜻하는 말로 수많은 유산균 중 하나이다. 인간이라는 같은 포유류에 속해도 각각 다른 이름이 있듯이 유산균도 종류마다 명칭이 다르다.

 

 유산균을 한국인에 비유한다면 락토바실러스라는 말은 김, 이, 박 같은 성씨라고 생각하면 쉽다. 또 같은 락토바실러스에 속해 있어도 특성에 따라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루스 등 여러 가지로 분류되는데 이것은 같은 김 씨라도 김서연, 김유준처럼 이름이 다른 것과 같다. 

 

반응형

 

 그렇다면 GG는 무슨 뜻일까?

 1985년 LGG 유산균을 처음 발견한 미국 의대 교수 두 사람의 이름  Gorbach & Goldin(고르바 & 골딘)의 첫 글자를 따서 붙인 것이다. 같은 김씨라도 피겨 선수 김연아처럼 천재적으로 뛰어난 사람에게는 피겨 여왕, 연느님 같은 특별함을 나타내는 별칭이 생기는데, 유산균도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중에서 연구와 임상을 통해 입증된 우수한 균의 명칭에 LGG의 'GG'처럼 다른 균과 구분하는 표시를 한다.

 

● LGG 유산균의 특징과 효능은?

 

 1. 위산과 소화 효소에 강해서 다른 유산균에 비해 장까지 잘 도달한다.

 - 일반적으로 소장, 대장까지 살아서 도달하는 유산균은 섭취량의 1% 정도 밖에 안 된다고 한다. 그에 비해 LGG 유산균의 강한 위산에서 생존 능력이 높다.

 

2. 장에 잘 흡착해서 생존 기간이 길다.

- LGG 유산균에는 섬모라는 가느다란 털이 있다. 이 섬모의 벨크로(찍찍이) 같은 기능으로 장에 잘 붙어 있어서 일주일 정도 장내 생존할 수 있다. 보통 유산균은 3~4일 후 밖으로 배출된다.

 

3. 1~2번에 설명된 특징으로 장에 오래 살아남을 수 있어서 면역 세포의 70%가 있는 장의 환경을 더욱 좋게 만들어 준다. 그러면 자연스럽게 몸의 면역 기능도 매우 향상된다.

 

4. 체내의 백색 지방을 분해한다.

- 체내 지방에는 외형적 색상 구분으로 백색 지방과 갈색 지방이 있는데 백색 지방은 내장 지방처럼 흔히  뱃살과 허릿살 같은 비만의 요인이 되는 지방을 뜻한다. 백색 지방이 무조건 나쁜 것은 아니지만 현대인의 지나친 음식 섭취로 과체중이 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LGG 유산균에는 이러한 백색 지방을 분해하는 효과가 있다. 일명 뚱뚱균이라고 불리는 유해균과 반대 작용을 하는데 그 과정에서 유해균을 억제하는 효과도 있다.

 

● LGG 유산균 맛있게 먹기 - 상하목장 유기농 요거트

 시중에서 쉽게 구입해서 먹을 수 있는 제품 중 상하목장 유기농 요거트 플레인에는 LGG 유산균이 들어 있다. 

상하목장 유기농 요거트
상하목장 유기농 요거트

 그런데 보통 LGG 유산균이 아니라 148년 전통의 세계적인 유산균 생산기업인 덴마크의 크리스찬 한센 회사의 유산균이다. 같은 유산균이라도 회사마다 기술력이 다르기 때문에 그 품질 차이가 난다. 품질의 차이는 효능을 차이로 이어진다. 

 게다가 BB-12라는 크리스찬 한센의 특허 유산균도 함유되어 있다. BB-12는 비피도박테리움 애니멀리스 락티스라는 유산균인데, LGG의 GG처럼 BB-12라는 특별한 구분 명칭이 붙은 것이다.

 

 □LGG 같은 락토바실러스균 - 주로 소장에서 활동하면서 항균 물질을 생성하고 유해균을 억제하면서 면역에 관여한다.

 □BB-12 같은 비피도박테리움균 - 주로 대장에서 활동하면서 대장균 증식을 억제하고 장운동을 활발하게 하여 배변 활동을 강화한다.

 

크리스찬 한센 마크
크리스찬 한센 유산균 마크

 사진을 자세히 보면 크리스찬 한센이라는 이름과 고유 마크인 'R'이 있다.

 

상하목장 유기농 요거트
유기농 우유 99% + 유산균 1%

 설탕 같은 당류나 점도제 같은 첨가물이 전혀 없어서 맛도 좀 떨어지고 물처럼 묽다는 단점은 있지만 건강 개선 효과에는 매우 좋은 제품이다.

 가능하면 과일 등 다른 음식에 섞어서 먹는 것보다는 아침 공복에 먹는 것을 효능 면에서 추천한다.

 

*현재 상하목장 유기농 요거트의 유산균이 기존 LGG와 BB-12에서 일반 유산균으로 바뀌었어요. 이전 유산균주가 더 좋았는데 아쉽습니다. 

변경된 유산균주
변경된 유산균주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