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세 가지 약의 공통점은 여드름 치료에 사용된다는 것과 비타민A 유도체라는 것이다.
비타민A는 망막에 특수한 작용을 하고, 화학 구조상 알코올의 일종이기 때문에 망막이라는 뜻의 'retina'와 'alcohol'을 합쳐서 'retin + ol', 즉 레티놀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비타민A인 레티놀은 생체 내에서 retinal과 retinoic acid로 바뀌기도 하는데 이렇게 일부를 변화시켜서 생기는 유사한 화합물인 유도체를 통틀어 retinoid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김ㅇㅇ인 남자가 결혼을 하면 이름을 다르지만 같은 김씨 성을 가진 여러 자식들을 낳는다. 그 김씨 자식들(retinoid)은 김씨(비타민A=retinol)의 유도체 같은 것이라고 생각하면 쉽다.
이러한 retinoid는 자연에 존재하는 것과 합성된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우리가 의약품으로 사용하는 것은 합성된 것으로 자연 물질과 화학적 구조는 비슷하지만 체내에서 비타민A로 작용하지는 않는다.
1. 스티바A크림(스티바에이크림)의 사용법과 주의사항
retinoid 계열 중 처음으로 약으로 사용된 것이 트레티노인(tretinoin)이라는 성분의 스티바A크림(스티바에이크림)이다. 첫 번째라서 1세대 성분이라고 부른다. 약물 농도에 따라 0.01%, 0.025%, 0.05% 등 세 가지로 종류가 있다.
하루 한 번 1~2회 취침시에 바른다. 트레티노인 성분은 햇빛에 노출되면 안정성이 떨어져 파괴되기 쉬워서 가려움과 발진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피부가 민감하거나 자극이 심하게 느껴지면 이틀에 한 번씩 사용하도록 한다.
과산화벤조일(benzoyl peroxide)같은 산화제와 동시에 바르지 않도록 한다. 약물의 구조상(카복실산) 산화에 매우 민감하기 때문이다. 시중에 판매되는 과산화벤조일 성분의 일반의약품 외용제로는 태극제약의 파티마겔이 있다. 그래도 꼭 같이 바르고 싶다면 시간 간격을 두고 각각 다른 시간에 바르도록 한다.(예를 들어 아침에는 과산화벤조일, 저녁에는 스티바A크림)
2. 이소티논 연질캡슐
스티바A크림(스티바에이크림)의 성분인 트레티노인의 구조를 조금만 바꾸면 이소(iso) + 트레티노인(tretinoin)이 되는데 이것이 바로 이소티논 연질캡슐의 성분이다.
* 이소티논에 대한 설명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
2022.04.14 - [건강 이야기] - 이소티논의 효과와 부작용
이소티논의 효과와 부작용
이소티논은 여드름 치료제로 의사의 처방을 받아야 구입할 수 있는 전문의약품이다. 의료보험 적용이 되지 않기 때문에 비급여 품목이다. 그래서 약국에서 부담하는 약값은 보통 감기약처럼
trazom1756.tistory.com
3. 디페린겔의 사용법과 주의사항
1세대에서 발전하여 3세대인 성분인 아다팔렌(adapalene)의 약품이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크림이 아닌 투명한 겔 제형이다.
1세대와 달리 햇빛에도 안정적이고 자극도 매우 적다. 그래서 피부가 따갑고 땅기는 불편함도 줄어든다.
스티바A크림과 마찬가지로 하루 한 번 1회 취침시에 얇게 바른다. 보통 한 두달 후에 증상이 많이 좋아진다. 3개월이 지나도 증상이 개선되지 않으면 중지한다.
스티바A크림과 다르게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적인 성분이라서 다른 여드름 치료 외용제와 같이 사용해도 된다.( * 예 : 과산화벤조일, 클린다마이신, 에리스로마이신)
* 위 세 가지 약품 모두 임신 중이거나 임신할 가능성이 있는 여성, 수유부는 사용해서는 안 된다.
'건강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버콜라겐<약국전용> - 김사랑처럼 촉촉탱탱 피부가 될 수 있을까? (0) | 2022.04.21 |
---|---|
입소문으로 유명한 셀로맥스 관절 영양제 - 리프리놀(feat. 어버이날 선물) (0) | 2022.04.19 |
이소티논의 효과와 부작용 (0) | 2022.04.14 |
알고 먹는 LGG 유산균 - 상하목장 유기농 요거트 (0) | 2022.04.09 |
코로나 재택치료에 필요한 상비약과 건강기능식품 (0) | 2022.03.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