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이야기

코로나 재택치료에 필요한 상비약과 건강기능식품

by 트라좀 2022. 3. 18.
반응형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인 오미크론의 높은 감염력으로 매일 확진자가 급증하고 있다. 다행히 이전 바이러스보다 중증 위험도가 높지 않고  짧은 시간에 많은 환자가 나오다 보니 재택치료로 대응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나 역시 재택치료를 했고, 격리 해제는 되었지만 아직까지 코로나의 그늘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했다. 피로감, 가래, 쉰 목소리, 코와 목의 불편한 느낌 등 후유증이 남아있다. 

 

 코로나에 걸리면 외출이 안 되니, 미리 상비약과 건강기능식품을 구비해 두면 좋다.

 

 <상비약>

 ● 아세트아미노펜 : 상품명인 타이레놀로 유명한 약. 소염 효과는 없지만 해열 진통 효과가 있다. 오미크론은 염증을 동반하기 때문에 다른 비스테로이드 계열 소염진통해열제가 좋지만, 이런 약은 빈 속에 복용할 경우 위장 장애가 있다. 아세트아미노펜은 위장 장애가 거의 없으므로 코로나 감염 후 속이 매우 불편할 경우 해열 진통 목적만으로 복용하기에 적합한 약이다. 

 

 ● 이부프로펜 : 비스테로이드 계열 소염진통해열제 중에서 가장 무난하고 일반적인 약이다. 특별히 속이 아주 안 좋은 경우가 아니면 염증을 동반한 발열, 몸살 증상에는 이 성분이 효과적이다. 이부프로펜에서 유효 성분을 추출한 덱시부프로펜도 좋다. 단, 공복 복용은 피한다.

 

반응형

 

 ● 종합감기약, 코감기약, 기침감기약 : 사람에 따라서 코나 기침 감기만 올 수 있다. 불필요한 약을 복용해서 좋을 것은 없으니 세 가지 약을 준비해두고 그때그때 상황에 맞게 먹으면 된다.

 

● 은교산, 구풍해독탕 : 오미크론의 가장 큰 증상인 인후통에 쓰는 약이다. 병원 처방을 받으면 항생제가 들어 있는데 그 약과 같이 복용해도 된다. 은교산은 감염 초기 입 안이 마르면서 마른기침, 미열을 동반한 목 아픔에 좋고 구풍 해독탕은 석고라는 아주 차가운 약재가 들어 있어서 편도가 많이 부었을 때 좋다. 

 

 ●탄툼스프레이, 스트렙실 트로키 : 둘 다 소염진통제이며 인후염 완화에 도움이 된다. 탄툼 스프레이는 입 안에서 하루 3~6회 분사하고, 스트렙실은 천천히 사탕처럼 녹여서 먹는다. 입 안이 건조해질 수 있으니 물을 자주 마시면 좋다. 

☆목앤 스프레이와 베탄딘 스프레이는 소염과 살균 소독 성분으로 위의 탄툼과 스트렙실과 마찬가지로 인후염의 통증을 줄여줄 수 있다.

 

 ● 트리메부틴 : 속이 메슥거리거나 구토, 소화불량이 있을 때 도움이 되는 위장운동 조절제이다. 식전 30분~1시간 전 복용하면 된다.

 

 ● 디옥타헤드랄스멕타이트 : 나는 치료 중 변비가 생겨서 힘들었는데 반대로 설사가 나오는 경우도 있다. 의료인이 아닌 이상 개인별 상황이 어떤지 스스로 판단하기 어려울 수 있으니 안전하게 디옥타헤드랄스멕타이트 같은 흡착 성분의 지사제를 준비해 두기를 추천한다. 이 지사제는 다른 약물과 동시 복용하면 안 되고 1~2시간 정도 간격을 띄워서 먹어야 한다. 

 

 <건강기능식품>

 ●프로폴리스 : 경구용 제품과 스프레이형 외용제가 있다. 면역력을 높여주고 항균 효과가 있어서 특히 인후염에 도움을 준다.

 

 ●유산균 : 결국 감염 증상은 내 몸의 면역 반응이므로 면역력을 높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평소 자신에게 맞는 유산균을 알고 있다면 원래 먹던 양보다 2~3배 정도 늘려서 먹어도 된다.  잘 모른다면 LGG와 BB-12 같은 유산균 제품을 추천한다.

 

 

 

 <음식>

 약식동원이라는 말이 있다. 음식과 약은 그 근원이 같다는 뜻이다. 빨리 회복하기 위해서는 면역력을 높여줄 수 있는 발효 음식이 좋다. 된장국, 청국장, 묵은지, 장아찌 등 좋은 원료로 잘 발효된 음식을 많이 섭취하자. 인후염 때문에 고춧가루가 있는 김치를 먹기가 어렵다면 백김치나 동치미가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코로나 재택치료를 하면서 우리나라 음식에는 좋은 발효식품이 풍부해서 다행이라고 생각했다. 발효 음식에 들어 있는 유익균이 건강을 회복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반응형

댓글